STUDY ROOM

First week( 7/23-7/28) : 새로운 기회! 본문

Pre 35기 TWIL

First week( 7/23-7/28) : 새로운 기회!

Eva_0401 2019. 7. 28. 11:21

 

1. 드디어 개강 첫 주 시작!

 

상상외로 진도가 정말 빨랐다. 코플릿에 있던 문제의 수준도 상당히 높았다.  자바에 대해 하나도 몰랐다면, 정말 하나도 못 풀 문제들 투성이었다.  이클립스와 다른 형태에 버벅거림도 조금 있었다. (가령 var를 int로 적어 오류가 난다던지..) 한 순간이라도 과제를 미루는 순간 파도처럼 밀려올 것을 직감했다. 무슨 일이 있어도 예습과 복습은 철저히 해야한다.. 그리고 페어 프로그래밍! 첫 페어 프로그래밍은 어렵지 않은 문제로 하여 수월히 끝내었지만, 앞으로 페어 프로그래밍은 어느정도 예습을 하고 참여해야할 것 같다.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서 예습은 필수! 

 

 

2. 7월 23일 첫 수업 <변수>

 

  • 선언   let myname ;

 

  • 할당   myname = 'Steve'; //스티브라는 값을 myname에 할당한다.
    • let myname = 'Steve';  //프로그래밍 세계에서 변수는 이름(Label)이 붙은 값.
    • pi*5*5;  //반지름이 5인 원의 넓이
    • let radius =5; // 반지름을 변수로 둘 수도 있다.
    • let areOfCircle = pi*radius*radius; //결과물을 변수로 다시 담을 수 있다.
    • let sum = 1; sum= sum+2; // 변수는 동일한 변수를 이용해 대입할 수 있다.

 

  • Q. 왜 논리식에서  ==를 쓰지 않고  ===를 쓸까?
    • ==는 타입과 상관없이 비교하고 ===는 타입까지 비교한다 
      185.3 == 185.3 => true
      185.3 === 185.3 => false
    • undefined와 null 의 비교 
      undefined == null => true
      undefined === null => false

 

3. 7월 28일 두 번째 수업 <배열과 반복문>

 

  • 배열 : 순서가 있는 값.
    • 배열의 값 =>요소 (element)
    • 순서 : 인덱스, 1이 아닌 0부터 번호를 매김
    • let myNumber= [ 73,98,86,61 ];
    • 값은 인덱스를 이용해 접근

 

  • 배열로 알 수 있는 것
    • 배열의 길이  myNumber.length;
    • 요소를 추가 myNumber.push(96);
    • 요소를 삭제 myNumber.pop(); //배열 마지막 값을 삭제 
  • 반복문 : 같거나 비슷한 코드를 여러번 실행시켜야 할 경우에 쓰는 구문 

 

  • for 구문 : 반복할 조건을 초기화, 조건식, 증감식 순으로 넣어줌 

 

  • while 구문 : 반복할 조건 중, 초기화, 증감문은 따로, 조건식만 괄호안에 넣어준다. 
    • for(let n = 0; n<myNumber.length;n++) console.log(myNum[n]); }   
    • for(let n = 0; n<myNumber.length-1;n++) console.log(myNum[n]);} 

 

  • 객체 : 키와 값 쌍(Key-value pair)으로 이루어져 있음. 
    • let user = { firstName : 'Steve'; lastName : 'Lee' ; city : Seoul; }

 

  • 객체의 값을 사용하는 방법  
    • Dot notation 
      • user.firstName; // 'Steve'
      • user.city; // 'Seoul  
    •  Bracket notation  
      • user['frstName'];//'Steve'
      • bracket 안쪽의 내용을 문자열 형식으로 전달하지 않으면 변수로 인식한다. 

 

#dot notation이나 braket notatiom으로 객체를 추가하거나 변경,삭제 할 수도 있다.
#in 연산자를 이용해 해당하는 키가 있는지 확인할 수 있다.

>delete writer.isPublished
>'content' in tweet; //true

 

Comments